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파이썬
- 드림핵 리버싱
- 리버싱
- 자바스크립트
- 위니브
- 인프런 강의 추천
- 안드로이드 리버싱
-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모의해킹
- 오블완
- 웃긴 파이썬
- 티스토리챌린지
- adb
- 강의 체험단 1기
- 안드로이드 adb
- 리버싱 플래그
- 자바스크립트 강의
- adb 옵션
- 깃허브 블로그
- 더오름
- 간단한 깃허브 블로그
- 깃허브 포트폴리오
- 드림핵 플래그
- 잔디 심기
- 제주ICT
- 안드로이드 adb start-server
- 제주코딩베이스캠프
-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
- 인프런 깃허브 강의
- dreamhack reversing
- 인프런 파이썬 강의
Archives
- Today
- Total
해보자고
[Python 부트캠프] 자료형(1) : int, str 본문
1. 변수들의 속성 알아보기
# 라이캣의 개인정보 입력하기
이름 = '캣'
설명 = '위니브 월드 외각에 살고 있는 생선가게 주인 캣(cat)'
나이 = 10
오늘_잡은_물고기 = '10'
키 = '45cm'
몸무게 = 1.2
몸무게 = 1.2
육식 = True
초식 = True
돈 = 1000
훈장 = []
기술 = ['고기잡이', '고기팔기']
'''
라이캣의 개인정보입니다.
성장함에 따라 해당 값이 변합니다.
주의) 마음대로 성장시키지 마십시오.
'''
1.1 int 속성
10의 type은 int 인 것을 type()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또한, dir(나이)를 통해서 아래와 같은 다양한 메소드명을 확인할 수 있다.
+) dir() : (객체)와 관련한 모든 메서드, 속성의 목록을 반환하는 함수
던더함수(매직메서드) | 형태 : __이름__ 사용 : 연산자 오버로딩, 객체의 기본 동작 정의 등 예시 : __add__() , __mul__() , __sub__() 등 |
메서드 | 형태 : 언더바 X 사용 : 클래스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메서드 동작 예시 : bit_length(), append(), upper() 등 |
1.2 str 속성
형태 : 작은 따옴표(' '), 큰따옴표(" "), 삼중따옴표(""" """) <- 줄 단위의 문자열 표시 가능.
특징 : 시퀀스 자료형. 순서가 있는 자료형이라는 뜻으로 각 요소들은 Index값을 갖게 된다. -> 인덱싱, 슬라이싱, 반복 등 활용성이 높음.
upper | 문자열을모두 대문자로 변환 |
swapcase | 대문자는 소문자로,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 |
title |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변환 |
split | 지정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 |
replace | 문자열의 특정 부분을 다른 문자열로 바꿈 |
count | 특정 문자가 몇 번 등장하는지 반환 |
find | 특정 문자의 첫 번째 등장 위치(인덱스)를 반환 (찾지 못하면 -1 반환) |
sample = "hello world"
print(sample.upper()) # 결과: "HELLO WORLD"
sample2 = "Hello World"
print(sample2.swapcase()) # 결과: "hELLO wORLD"
sample3 = "hello world"
print(sample3.title()) # 결과: "Hello World"
sample4 = "apple banana cherry"
print(sample4.split()) # 결과: ['apple', 'banana', 'cherry']
sample5 = "I like apples"
print(sample5.replace("apples", "bananas")) # 결과: "I like bananas"
sample6 = "banana"
print(sample6.count("a")) # 결과: 3
sample7 = "hello world"
print(sample7.find("o")) # 결과: 4 (0부터 시작)
print(sample7.find("z")) # 결과: -1 (없음)
인덱싱(indexing) | 인덱스를 통해 특정 값을 호출하는 방식 |
슬라이싱(slicing) | 일정 범위의 값을 호출하는 방식 |
'대외활동 & 교육 > 위니브 엠버서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 100제] 1, 2, 3번 문제 (0) | 2025.02.28 |
---|---|
[Python 부트캠프] 00. 파이썬 하수 (0) | 2025.02.23 |
[견고한 기본기 HTML&CSS]HTML 골격 만들어 보기 (0) | 2025.02.12 |
[3분만에 만드는 깃허브 블로그] 방문자 수 세기 (0) | 2025.01.31 |
[3분만에 만드는 깃허브 블로그] 블로그 제목 및 메뉴 수정 (0) | 2025.01.31 |